소개





  • 송용진 (Song, Yongjin)
  • 1958년 8월 7일 생
  •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교수
  • 22212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하로 100
    인하대학교 5북211

    5N211, Department of Mathematics, Inha University, 100 Inharo, Michuhol-gu, Incheon 22212, Korea
  • +82-32-860-7631
  • yjsong@inha.ac.kr

연구 관심 분야


학력

1986.1-1990.5Ohio State University 이학박사(위상수학)
1984. 9-1985. 12Ohio State University 이학석사(위상수학)
1981.3서울대학교 수학과 대학원 입학
1977.3-1981.2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이학사

경력

1991.8-현재 인하대학교 수학과 교수
2015.3–2018.3 중국 대련이공대 해천해외학자
2012.1-2017.12 인하대학교 평의원회 위원
1990.6-1991.6 Ohio주립대학 계약직 교수
1981.7-1984.7 해군사관학교 수학교관

수상경력

2020.4 과학기술훈장 혁신장(2등급) 수상
2015.12 서울시 문화상(자연과학부문)
2012.9 인하대학교 연구상
2010.4대한수학회 논문상

학회 및 사회활동

2011.1-2020.12대한수학회 부회장(수학교육 담당)
2011.1-2020.12대한수학회 한국수학올림피아드위원회 위원장
2014.7-2022.7 국제수학올림피아드 IMO집행위원(선출직 3명 중 1명, 임기 4년)
2014.8ICM 위성학회 (대수적 위상수학, 중국 대련) 주관
1995-2020 국제수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단장 또는 부단장
2016-현재 대한수학회 수학문화앰배서더
2013.10-현재 과학창의앰배서더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1-2017.12 인하대학교 평의원회 위원(3기 연임, 교수대표 4인 중 1인)
2011-현재 매년 전국대학생수학경시대회 주관
2011-현재 매년 수학교육포럼 주관
2013.9-2015.9 강원경기수학회 편집위원
2008.1-2011.12 대한수학회 위상수학분과위원장
2007-현재 매년(또는 격년) 동아시아대수적위상수학(EACAT) 학술대회 주관
2007.1-2009.12 대한수학회보 편집위원
2005.1-2006.12 대한수학회 KMO 사업이사
1999.1-2002.12 대한수학회 KMO 사업이사

논문

  1. W. Chang, B.C. Kim and Y. Song, An infinite family of braid group representations, To appear in the J. of Knot Theory and Its Ramifications.
  2. B.C. Kim and Y. Song, Configuration spaces, moduli spaces and 3-fold covering spaces, Manuscripta Mathematica 160(2019), 391-409.
  3. C-S Jeong and Y. Song, The pillar switchings in the mapping class groups of surfaces, International J. of Math 24(2013), No.13, 1-24.
  4. Y. Song, The braidings in the mapping class groups of surfaces, Journal of KMS 50(2013), 865-877.
  5. Y. Song and U. Tillmann, Braids, mapping class groups, and categorical delooping, Math. Ann. 339(2007), 377-393.
  6. Y. Song, The action of image of braiding under the Harer map, Comm. Korean Math. Soc. 21(2006), 337-345.
  7. C-S Jeong and Y. Song, Splittings for the braid-permutation group, J. Korean Math. Soc. 40(2003), No. 2, 179-193.
  8. C-S Jeong and Y. Song, Ribbon category and mapping class groups, J. Korean Math. Soc. 37(2000), No. 3, 491-502.
  9. Y. Song, The braidings of mapping class groups and loop spaces, Tohoku Math. J. 52(2000), 309-319
  10. Y. Song, On the relative Wall-Witt groups, Israel J. of Math. 90(1995), 189-197.
  11. Y. Song, The Volodin model for hermitian algebraic K-theory, K-Theory 5(1992), 485-501.
  12. Y. Song, Relative hermitian algebraic K-theory and dihedral homology, K-Theory 5(1992), 503-529.

저서 및 역서

  1. M. Singh, Y. Song, J. Wu, Editors, Algebraic Topology and Related Topics, Birkhauser, 2019.
  2. 송용진, 김석진, 오병권, 서인석, 집합론, 경문사, 2015년.

대한수학회장 선거

소견서

존경하는 대한수학회 회원 여러분께,

안녕하십니까? 인하대학교의 송용진입니다. 저는 열심히 봉사하겠다는 마음으로 다시 한번 대한수학회장 선거에 출마하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저는 대한수학회와 우리나라 수학자 여러분들의 도움과 은혜를 많이 받아왔습니다. 그리고 저는 수학자로서, 그리고 수학을 가르치는 선생으로서 행복한 시간을 보내 왔습니다. 저는 대한수학회에서 지난 10년간의 부회장직을 포함하여 지난 22년간 KMO 담당이사, 위상수학 분과위원장 등 여러가지 일을 맡아 해 왔습니다. 그동안의 대한수학회와 수학계로부터 받은 은혜에 보답도 하고, 나름 우리 수학계의 발전을 위해 그동안에 제가 구상하고 있던 것들을 실천해 보고자 이렇게 나서게 되었습니다.

지금 수학자들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여러 대학에서 수학과가 폐지 또는 축소의 위기에 봉착해 있고, 수학자들은 갈수록 연구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지만 수학연구와 수학교육만이 갖고 있는 어려움을 수학계 밖으로 알리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저는 우리 수학자들의 연구 환경 개선, 수학의 사회적 위상 제고, 수학자들의 교류의 장 확대 등을 위하여 열심히 일하고자 합니다. 저에게 대한수학회장으로서 일할 기회를 주신다면, 회원 여러분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며 최선을 다해 제가 맡은 역할을 다 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그간 수학을 공부한다는 것이 늘 자랑스러웠고 저의 능력으로 할 수 있는 일이라면, 수학계를 위해 열심히 일해야 한다고 믿으며 지금까지 살아 왔습니다. 수학은 현대의 수많은 학문분야 중 유일하게 수천 년간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온 학문이며, 수학은 인류 지성의 정수를 담고 있고, 그래서 모든 학문 중 가장 중요하고 또한 가장 어려운 학문입니다. 이러한 위대한 학문을 공부한다는 공통점 하나만으로도 전 세계 수학자들은 모두 서로 동지이자 친구입니다.

송용진이란 사람은 그동안 수학올림피아드 관련 일만 주로 해 왔다고 알고 계신 분들도 많다고 들었습니다만, 실은 저는 위상수학자로서 학술활동을 나름 열심히 하며 살아왔습니다. 수학올림피아드 일 외에도 위상수학 분과위원장, 대한수학회보 편집위원, 수학교육 관련 제반 업무, ICM 조직위원 등을 맡아서 일을 하였고, 그 외에 15차례 정도 국제학술대회를 주관하였으며, 20차례 이상의 국제학술대회 초청 강연, 그 외 대학에서 20차례 이상 초청 강의를 하였습니다. 그동안 앞장서서 학술대회 주관, 초청강연, 심사 등 학술활동에 참여해 왔다고 자부합니다. 또한 대한수학회 수학교육 담당자로서 일반 학교 수학교육에 관심을 갖고 10년 이상 일해 왔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수학은 눈부신 발전을 해 왔고, 이제는 선진국과의 차이를 많이 줄였습니다. 그리고 국내 수학계에는 최근에는 ICM의 성공적인 개최, 산업수학, 인공지능(AI) 등 굵직한 이슈들에 의해 수학이 그 어느 때보다도 더 많은 세간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대한수학회가 수행해야 하는 업무도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고도의 판단을 요구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대학구조 조정의 파고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수학과가 구조조정의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갈수록 대한수학회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하겠습니다.

대한수학회장으로서, 수학의 사회적 위상 제고, 연구 환경의 개선, 연구 수준의 향상, 학술지 질 향상, 수학교육의 사회적 의의 홍보, 회원 간의 교류 증진, 국제교류 확대 등 대한수학회의 본연의 역할이 충실히 수행되도록 내실을 기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각종 대외 활동을 통해 대한수학회의 대표자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일을 하겠다고 회원 여러분들께 약속드립니다.


1. 수학자들에게 꼭 필요하고 친밀한 대한수학회를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대한수학회가 수학자들에게 꼭 필요한 존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학자들에게 필요한 연구, 연구비, 학술대회 등의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 SNS를 이용하여 학술정보를 전해드리고 대한수학회 홈페이지를 개편하여 KMS광장이라는 대화장도 만들겠습니다.


2. 대학 구조조정의 소용돌이 속을 잘 헤쳐 나갈 수 있도록 수학의 비전과 중요성을 홍보하고 졸업생들의 진로 확대를 모색하겠습니다.

수학과 졸업생들의 취업률 제고가 정말 중요한 일입니다. 각 대학의 어려운 사항들을 잘 수집하고 대한수학회가 적극 도움에 나서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국가 전체적으로는 미래의 창조적인 경제와 산업 건설을 위해서는 우리가 수학전문인력을 더 많이 활용해야 함을 각 산업계와 학계, 그리고 정부에 적극적으로 알려야 할 것입니다.


3. 민간 기업 후원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기업인들과 공무원들을 열심히 찾아가 만나겠습니다.

현재 대학수학회의 살림이 매우 어렵습니다. 회장이 해야 할 일 중 현실적으로 가장 시급한 일은 민간 후원금을 늘리는 것입니다. 제가 회장이 된다면 민간 기업과 정부 부서를 찾아다니는 일을 최우선으로 하겠습니다. 저는 보통의 수학자들보다는 폭넓은 사회활동을 해 왔고, 사람들 만나서 서로 협조하며 일하는 것을 좋아하고 잘 하는 편입니다. 저를 믿어 주시면 잘 해 보겠습니다.


4. 폭넓은 인선과 조직 개편을 통하여 대한수학회를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겠습니다.

전국에 많은 수학자들이 흩어져 있고 연구분야도 다양하지만 대한수학회 임원으로 지금까지보다는 더 광범위하게 참여하도록 초빙하겠습니다. 조직과 역할도 보다 효율적으로 바꾸겠습니다.


5. 지역 수학회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아울러 각 분과별 활동도 활성화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지역 학회와 분과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행정적, 재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저는 위상수학분과위원장 시절 4년간 매년 여름에 젊은 수학자들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습니다. 저는 학문 분과별, 또는 지역별 워크숍 개최 지원에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6. 국제교류 확대에 힘쓰겠습니다.

세계의 수학자들은 모두 저희들의 동료입니다. 국제교류는 수학연구활동의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저는 그동안 많은 외국 수학자들과 교류를 해 왔고, 특히 일본, 중국의 많은 수학자들과 깊은 교분을 쌓아 왔습니다. 저는 현재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잘 구사할 수 있고 소통이 원활합니다. 회장으로서 국제적으로 보다 나은 교류와 협력을 추진해 나갈 자신이 있습니다.


7. 수학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고, 수학 분야의 특수성을 간단한 개념으로 축약하여 사회에 전달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학은 수천 년간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유일한 학문입니다. 수학의 중요성과 특수성에 대한 홍보에 혼신의 노력을 다 하겠습니다. 수학은 다른 자연과학분야와 달리, 논문의 양적인 생산 못 지 않게 각 수학자들이 최고 수준의 이론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홍보해야 할 것입니다.


8. 연구지원 활동을 강화하겠습니다. 회원들의 논문 발표를 위해 새로운 저널을 추가로 만드는 문제도 연구하겠습니다.

대한수학회 본연의 일은 역시 학술활동 지원입니다. 대한수학회 학술지의 질 향상, 풀뿌리 연구비 확대, 신진연구자의 일자리 확대, 각종 학술활동 지원 등의 역할을 잘 수행하겠습니다.


9. 회원 여러분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수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겠습니다.

대한수학회 홈페이지, 지역 학회, 분과위원회 등을 통하여 회원들의 의견이나 문의 사항을 듣고, 그에 대한 답변을 드리는 시스템을 가동하도록 하겠습니다.